소비자들의 경제심리가 3개월만에 하락반전했다. 경기전망과 가계형편 등의 전망이 악화됐지만, 유독 집값 전망만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3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3.4를 기록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동향지수(CSI)중 6개 주요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로,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이고,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란 의미다. 소비자동향지수는 매달 전국 도시 2500가구를 대상으로 한 소비자 경제상황 인식 조사로 산출한다.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지난해 7월(103.7)에서 11월(100.7) 사이 5개월간은 100을 웃돌았으나, 12월 들어 88.2까지 급락했다. 이후 1월(91.2) 90대를 회복했고 2월에는 95.2까지 상승했으나, 3월 들어 3개월만에 하락반전한 것이다.
소비자심리지수(CCSI)를 구성하는 소비자동향지수(CSI)의 세부 지표를 살펴보면, 최근 소비자들의 경제심리가 차갑게 얼어붙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생활형편CSI의 경우,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3월까지 4개월 연속으로 87에 그쳤다. 지난해 7월부터 11월 사이만해도 90~91을 오갔으나, 지난해말 크게 악화된 생활형편 심리가 4개월 연속 이어졌다.
앞으로 6개월 뒤의 생활형편을 전망한 생활형편전망CSI는 2월 93에서 3월 92로 하락반전했다. 지난해 11월 94에서 12월 86까지 급락한 생활형편 전망은 1월(89)과 2월(93) 회복세를 보였으나, 3월 들어 다시 내려앉았다.
가계 재정상황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 역시 나빠졌다. 현재경기판단CSI는 지난해 11월 70에서 12월 52로 급락한 뒤, 올해 1월에는 51까지 떨어졌다. 2월(55)과 3월(55)에도 여전히 50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6개월 뒤 경기를 전망하는 향후경기전망CSI는 2월 73에서 3월 70으로 떨어졌다. 지난해 11월 74에서 12월 56까지 떨어진 뒤, 새해 1월(65)에 이어 2월까지 2개월 연속 상승한 뒤 3월에 하락반전했다.
6개월 뒤 취업기회전망CSI 또한 2월 74에서 3월 72로 떨어졌다. 지난해 12월(65)과 올 1월(69)보다는 높지만, 지난해 7월(86)부터 11월(79) 사이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유독 치솟은 집값 전망…들썩이는 부동산시장 반영
이처럼 소비자들의 경제심리는 지난해 12월 큰 폭으로 하락한 뒤 여전히 회복하지 못하는 추세다. 그러나 집값에 대한 전망만은 다르다.
앞으로 1년 뒤의 집값을 전망하는 주택가격전망CSI는 3월 들어 105로 2월(99)보다 눈에 띄게 상승했다. 지난해 11월만 해도 109였던 집값 전망은 12월(103)과 올해 1월(101)에 이어 2월까지 연거푸 하락했지만, 3월 들어 다시 반등했다.
이번 소비자동향조사는 지난 11일부터 18일 사이 이뤄졌기 때문에, 지난 19일 정부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지정 발표는 반영되지 않았다. 지난 2월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만이 반영된 조사다.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들썩인 것은 주택가격전망CSI만이 아니다.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주간 매매가격 변동률 추이를 보면, 2월 둘째주만 해도 가격이 상승세인 지역은 서울의 11개구였으나 3주 들어 17곳으로 늘었다. 이후 3월 2주에는 서울 25개구 중 총 23곳에서 아파트 주간 매매가격이 상승세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도 상승반전했다. 2024년 8월 104.8에서 점차 하락해 올해 2월 2주에는 96.7로 저점을 기록했으나, 이후 4주 연속 상승하면서 3월 2주에는 99.6으로 매도자 우위(100)에 근접했다.
서울지역에 국한해서 본 주택가격전망(CSI)도 지난해 8월 122에서 하락해 올해 1월 103까지 낮아졌으나, 이후 2월(103)에는 하락세를 멈추고 횡보했다.
정부는 “과거 시장상황과 비교할 때 최근 집값의 상승속도나 상승폭, 확산속도가 이례적이며, 단기간에 서울 전역으로 확산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처럼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면서, 부진한 경기의 회복을 위한 금리인하가 집값을 자극할 우려도 커지고 있다. 경기회복이냐 부동산 시장 안정이냐의 사이에서 금리인하 속도도 예측이 힘들어질 전망이다. 정부가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토지거래 허가구역을 종전보다 확대 지정한 것이 다시 집값 심리를 가라앉힐 수 있을지 여부가, 향후 경기회복의 중요한 잣대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중기이코노미 이창호 기자
<저작권자 ⓒ 중기이코노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